얼마 전 어금니가
흔들려서 치과에서 발치를 한 김 모씨(62·여)는 발치한 부위가 아물지 않고 계속 고름이 나오는 증상으로 대학병원을 찾았다. 진단 결과 골다공증
약물인 비스포스포네이트 부작용으로 인한 턱뼈괴사로 치료가 불가능하다는 말을 들었다. 김 씨는 수년 전 관절염으로 무릎수술을 받고 골다공증 예방을
위해 골다공증 약물을 수년간 복용하고 있었다.
서울대학교치과병원의 구강악안면외과 명훈 교수는 "비스포스포네이트는 효과를 없애는
일종의 길항제가 전혀 없다"며 "골다공증 약물을 투여받기 전에 치과검진과 필요한 사전 치료를 통해 구강상태를 최상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비스포스포네이트는 악성 암이나 골다공증에서 뼈를 녹이는 세포를 억제해 뼈흡수를 예방하고 강화하는데 널리 쓰이는 대표적인
약물이다.
그러나 치아가 있는 턱뼈의 생명력을 약화시켜 턱뼈가 괴사되는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문제는 약물의 반감기가 길고 대사가 되질 않아 약을 끊어도 축적된 약효가 몇 년을 가는데다 아직 이에 대한 치료법이 없다는
것.
비스포스포네이트가 원인으로 골괴사가 되면 이를 뽑아도 뽑은 자리가 아물지 않고 병균감염이 되어 수개월에서 수년간 고름이 나오는
증상을 보일 수 있다. 약을 먹고 썩어있는 뼈를 제거하고 다듬어도 턱뼈전체가 괴사 상태라면 도려낸 자리가 다시 아물지 않아 결국 턱뼈를 모두
제거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일단 약물이 체내에 축적되기 시작하면 턱뼈 괴사 위험군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이를 뺄 수도 없고 임플란트도 심을 수 없는 안타까운 처지가 된다.
우리나라는 골다공증에 대한 약물로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유럽, 미국 등의 국가보다 높은 비율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부작용으로 인한 턱뼈괴사 환자의 유병율도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 자료출처 : 파이낸셜뉴스 정명진 기자 >
'서울대학교치과병원 > 질병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년 하반기 스케일링 건강보험 및 진료 안내 (0) | 2017.06.13 |
---|---|
서울대학교치과병원 2017년 5월 건강강좌 자료 - 궁금한 혀 질환 (0) | 2017.06.05 |
노인들이 가장 후회하는 것 1위, 치아 건강 (0) | 2015.02.02 |
예비맘·임산부를 위한 ‘치과진료 가이드’ (0) | 2015.02.02 |
입 안이 따끔 ‘구강작열감증후군’ 무슨 질환? (0) | 201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