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기 싫었는데 하게 된/의료관련

‘정글 속 병원’ 누가 살아남나

by 심심한 똘이장군 2008. 10. 7.

‘정글 속 병원’ 누가 살아남나
최근 의료 시장 개방과 의료법 개정을 앞두고 규모와 지역을 막론한 병원들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서울에 있는 대형 병원들은 대규모 새 병동 건립과 리노베이션을 마쳤거나 진행 중이다. 또 의료 서비스의 핵심인 의사 및 간호사들의 선발 인원을 크게 늘리고 있으며 외부의 마케팅 전문가나 경영 전문가에 대한 스카우트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

2차 진료 기관으로 분류되는 중형 규모의 병원이나 지방의 대학병원들도 규모를 크게 늘리는 한편 진료 과목별 ‘특화’를 통해 수도권의 대형 병원과 맞설 수 있는 경쟁력 쌓기에 한창이다. 의원급 병원을 뜻하는 로컬 병원 역시 네트워크화를 통해 브랜드 파워를 쌓고 있으며 인수·합병(M&A) 등으로 몸집 불리기를 가속화하고 있다.

‘의료 서비스 1번지’인 서울 강남 지역에서 최근 가장 눈에 띄는 병원은 강남성모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다. 강남성모병원 부지 내에 1200병상 규모의 새 병동을 신축 중인 가톨릭중앙의료원은 이 병동의 이름을 ‘서울성모병원’으로 짓고, 각종 지원을 아끼지 않을 태세다. 특히 기존 강남성모병원과 내년 4월 오픈할 서울성모병원의 병상을 합치면 2000병상을 넘어서게 돼 기존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에 육박하는 ‘초대형 병원’으로 거듭나게 된다.

올해 초 650병상 규모의 암센터를 완공한 삼성서울병원 역시 그간의 명성을 한층 업그레이드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삼성서울병원이 중심이 돼 그간 유명무실하던 삼성의료원을 실권 기관으로 격상, 산하 기관들의 역할을 조정하고 각종 대규모 사업과 투자를 벌일 예정이다.

단일 병원으로는 국내 최대인 서울아산병원 또한 내년 초 완공을 목표로 대규모 리노베이션을 진행 중이다. 완공되면 현재 2200병상 규모가 2700병상 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또 진료 과목별 센터 중심으로 시스템을 정비한 영동세브란스병원과 두산그룹의 인수로 새 날개를 단 중앙대병원 등은 강남권 ‘제2차 의료 대전’의 다크호스다.

강북권에서는 건국대병원을 빼놓고는 이야기가 되지 않을 정도다. 건국대병원은 지난 2005년 새 병원을 완공한 이후 송명근 교수 등 굵직굵직한 스타급 의료진 모시기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들어서도 노벨의학상 수상자인 루이스 J 이그나로 교수, 홍승길 고려대 전 의무부총장 등을 영입했으며 9월에는 원자력병원장을 지낸 백남선 교수를 암센터장으로 영입했다.

강북 지역 ‘전통의 강자’들은 규모보다 내실 키우기 경쟁이 한창이다. 우수 의료진을 확보하는데 두 팔을 다 걷어붙였고 첨단 시설을 도입하는데 주저함이 없다. 각종 질환에 특화된 센터도 우후죽순 들어서고 있다. 이미 포화 상태에 접어든 강북 지역 시장에서 무모하게 규모를 키우기보다는 내실을 다져 지역 거점 유지는 물론 글로벌 병원으로 거듭난다는 각오다.

중소형 병원들 ‘전문화’에 사활 걸어

대형 병원들의 활발한 투자는 중견 병원들을 바짝 긴장시키고 있다. 자본력에서 열세인 중견 병원들은 ‘전문화’와 ‘특화’를 해결책으로 내세우고 있다. 정부도 이들의 ‘전문 병원화’를 돕고 있다. 이미 2005년부터 전문병원제도 도입을 위한 시범 사업을 진행 중이며 2010년부터 전문 병원제를 전면 도입할 계획이다.

우리들병원은 이 같은 흐름을 대표하는 선두주자 중 하나다. 1982년 이상호 신경외과의원으로 시작해 척추 디스크 한 분야를 집중 공략한 이 병원은 세계적 수준의 노하우를 살려 국제 환자들을 보다 적극적으로 유치할 계획이다.

여성 질환 분야의 미즈메디병원은 서비스 강화를 위해 인터넷 기반의 ‘미즈메디 콜센터’를 오픈한데 이어 내년에는 ‘미즈메디 케어센터’를 준공할 예정이다. 또 ‘여성 전문’이라는 타이틀에 맞도록 성형 분야에도 진출해 조만간 ‘코스메틱 센터’도 오픈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대장 항문 전문 병원인 송도병원은 건강관리 병원으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으며 안과 분야에서 국내 최대의 단일 병원인 김안과병원 역시 안과 분야에서 주도권을 결코 놓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규모가 작은 의원급 로컬 병원들 역시 전문성을 키우는 데 안간힘을 쓰고 있다. 중견 병원들이 전문화 수준이라면 로컬 병원은 아예 세분화 수준으로 나가고 있다. 일례로 예송이비인후과의 음성전문센터는 ‘목소리 관리’에 특화한 병원이며, 서울수면센터는 이비인후과와 신경과의 협진을 바탕으로 ‘잠’과 관련된 모든 증상에 대한 전문성을 강조하고 있다.

로컬 병원들의 네트워크화도 한창이다. 이미 네트워크병원들 간의 협회가 창립됐으며 현재 협회에 등록된 브랜드만도 48개에 달한다. 협회에 가입하지 않은 병원까지 합치면 개별 병원 기준으로 1000여 개에 달한다는 게 업계의 추산이다.

아울러 수익성 증진을 위해 각종 부대사업을 추진하는 병원들도 눈에 띄게 늘었다. 국내 최초의 도심형 실버타운을 건립한 바 있는 송도병원은 최근 오색그린야드 호텔을 인수, 오픈했으며 우리들병원은 서귀포시에 병원과 골프장을 겸한 ‘메디컬 골프 리조트’를 조성 중이다. 또 세란병원 역시 크리스탈밸리골프장 성공의 여세를 모아 실버타운 사업에 진출했고, 베스티안병원도 화상 치료와 관련한 맞춤 화장품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 외에도 BK동양성형외과는 기초화장품 생산 계획을 갖추고 있다.

이홍표 기자 hawlling@kbizwee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