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660 대학로 연극 - 오만과 편견 대학로 예스24스테이지 3관은 처음이네 ^^ 대학로 연극 "오만과 편견" 이정화 배우, 현석준 배우 인터미션 15분 포함 총 150분간의 공연. 쉽지 않을거라 예상하고 관람시작. 정통연극인줄 알았으나 남녀 배우들이 다역을 소화해야말 하는 전개. 두 배우들의 연기력은 좋은데 ㅜㅜ 극 전개가 너무 난해하다. 그 많은 등장인물을 둘이 다 소화해 내야 하다니... 1막은 극 전개형태를 이해하려다 보니 온전히 스토리와 연기에 집중하기가 어렵다. 많은 대사와 역할변경, 동선들. 배우도 지치고, 관객도 지친다. 2022. 9. 9. 연극 - 82년생 김지영 백암아트홀은 이번이 두 번째 방문. 퇴근 후 허겁지겁... 소설발매 이후 영화로도 제작되고 남성과 여성으로 나뉘어 불꽃튀게 논쟁하던 "82년생 김지영" 오늘 캐스팅은 박란주 배우, 김승대 배우, 송영숙 배우 학교에서, 가정에서, 취업에서, 직장에서, 결혼과 육아에서 차별되고 자아를 상실해 가는 여성의 삶. 여성역할에 대한 재인식, 남성역할에 댸한 재인식이라는 사회문제. 공감과 비공감의 사이 그 어디쯤. 진지함보다는 들뜨고 어수선한 느낌의 구성들. 아쉬움! 2022. 9. 8. 중앙장애인구강진료센터-한국보건복지인재원 협력,보건(지)소 치의료인력 역량강화 목표 구강건강관리 스킬업 교육” 실시 - 이론과 참관실습 병행 - 코로나 감염병의 유행으로 인해 지역사회 장애인, 노인 등 치과영역 취약계층들이 치과병의원을 방문하여 진료받기 어려운 상황에서 순회 및 방문 구강건강관리사업을 하는 보건(지)소 치의료인력 역량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중앙장애인구강진료센터(센터장 금기연)와 한국보건복지인재원(원장 직무대행 박광택)이 이를 위해 손을 맞잡는다. 양 기관은 보건(지)소에서 순회 구강건강관리사업, 시설‧재가 장기요양, 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방문 구강관리를 수행중인 치과의사, 치과공중보건의 및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구강건강 취약계층 특성을 이해하고 맞춤형 구강질환 예방 및 관리 방법 제공을 목표로 하는 2022년도 “구강건강관리 스킬업” 교육을 9월 5일부터 실시한다. “구강건강관리 스킬업 과정”은 이.. 2022. 9. 6. 귀토(토끼의 팔란) - 재미진 수궁가 이후의 땅과 바다의 이야기 예전, 명절이 되면 TV를 통해 가끔씩 볼 수 있었던 mbc 마당극장. 지금도 kbs 에서 하는 국악한마당을 가끔 흘쩍 보기도 했지만 창극을 현장에서 직접 보게되다니... 뮤지컬에 대한 선호도에 비해 떨어지는 창극에 대한 인식. 미경, 승현, 승훈 까지 모두 함께한 가족나들이인데 괜히 지루한 것은 아닐지 하는 약간의 불안감(무려 150분간의 런닝타임). 심지어 그렇게 옆을 자주 지나다녔지만 국립극장에서 공연을 본 건 이번이 처음. 설렌다. 남산의 자연과 어우러져 자리한 국립극장은 광화문 한복판의 세종문화회관과는 또다른 느낌이다. 국악공연이 주로 이루어지는 것 같던데 의외로 실내는 현대식으로 깔끔하다. 신기했던 무대 디자인. 무대가 관객석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배우들은 거기에서 중심을 잡고 연기를 하는.. 2022. 9. 1. 중앙장애인구강진료센터 개소 3주년, 장애인 구강건강 버팀목 역할 - 장애인 차별없는 사회 실현에 앞장서 - 중앙장애인구강진료센터(센터장 금기연, 이하 중앙장애인센터)가 지난 23일 개소 3주년을 맞이하여 중앙장애인구강진료센터를 방문한 환자들에게 기념품을 전달하는 행사를 열었다. 중앙장애인구강진료센터는 2019년 개소이래 2022년 6월까지 서울 지역뿐만 아니라 전국 47,536명의 장애인 환자(전신마취 3배수 기준)의 치과치료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장애 특성으로 인하여 전신마취 하에서 치과치료를 시행한 건수도 1,536건(전신마취 1배수 기준)에 이르는 등 장애인 구강건강의 버팀목 역할을 수행해 왔다. 중증 장애인은 진료 협조도가 낮아 치과치료가 어려워, 전신마취 상태에서 전문의료진에 의해 치과치료를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동안 장애인 진료를 위한 일반 치과개원가.. 2022. 8. 31. 부여 정림사지, 궁남지 일년에 몇 번을 다녀오는 부여인데 실제로 정림사지터와 5층 석탑을 본 적이 한번도 없었다는게 나 스스로도 의아스러웠다. 이번 연휴에는 폭우가 멈춘 사이를 이용해 정림사지터를 찾았다. 백제시대 익산 미륵사지터와 함께 우리에게 익히 알려진 정림사지터.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어 있다. 정림사지는 부여의 중심부에 위치한 백제시대의 대표적인 절터이며, 주변에는 동쪽으로 금성산, 북쪽으로 부소산에 둘러싸여 있다. 사비시대 수도의 가장 중심적인 위치에 있었던 정림사지는 우뚝 서있는 석탑 표면에 당나라가 백제를 멸망시킨 전승 기념의 내용이 새겨져 있다. 이는 백제 왕조의 운명과 직결된 상징적인 공간으로 정림사가 존재하였음을 시사한다. 정림사지는 백제시대의 전형적인 가람배치를 가지고 있다. 중문, 석탑,.. 2022. 8. 15. 이전 1 ··· 35 36 37 38 39 40 41 ··· 444 다음